<미시경제와 거시경제의 개념과 차이점>
흔히 경제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면 보통 2학년부터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을 배우게 됩니다.
학생들은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이란 과목을 따로 구분하여 공부하면서 미시경제와 거시경제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게 됩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미시경제와 거시경제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어떻게 다른지 구별하여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미시경제와 거시경제
미시경제는 쉽게 말해 숲과 나무 가운데 주로 나무를 보듯 시야를 작게 해 보는 경제를 뜻합니다.
경제에 참여하는 주체인 가계, 기업, 정부의 활동 하나하나를 주목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반면, 거시경제는 숲과 나무 가운데 숲을 보듯 시야를 크게 하여 보는 경제를 뜻합니다.
미시경제와 달리 경제주체들의 활동이 모여 이루어내는 국민경제 전체의 과정과 결과에 주목하는 방법입니다.
예를 들어 경제 현상을 볼 때 미시 경제는 옷값, 음식값, 버스 요금 등을 따로 파악합니다.
하지만 거시경제는 개별 재화의 가격을 모아 평균 낸 '물가'로 파악합니다.
미시 경제과 거시경제는 다루는 주제도 다릅니다.미시경제의 전형적인 주제는 기업의 매출액이나 이익, 가계의 소득이나 저축 같은 것들입니다.이에 비해 거시경제는 경제성장이나 실업, 인플레이션, 재정 등 범위가 큰 문제를 주로 다룹니다.
2.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
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경제학도 경제를 보는 시야를 크게 잡느냐 좁게 잡느냐에 따라서 미시경제학, 거시경제학으로 나뉩니다.
미시경제학은 소비자, 기업, 정부 등 개별 경제주체의 활동을 좁고 깊게 분석합니다.
반면 거시경제학은 각 경제주체가 벌이는 경제활동이 합해져 큰 범위로 진행되는 경제 현상의 과정과 결과를 주로 분석합니다.
3. 미시경제지표와 거시경제지표
경제지표 또한 미시경제지표와 거시경제지표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.
개별 기업의 연 매출액이나 이익증가율과 같이 미시경제 현상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를 미시경제지표, 국민소득이나 물가상승률처럼 국민경제 전체에 걸친 거시경제 현상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를 거시 경제지표라고 합니다.
거시 경제지표는 국제수지, 환율, 실업률, 통화증가율, 이자율 등 나라 경제의 현실을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.
'기타정보 > 경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학에서 자주 쓰이는 베블런 효과의 뜻 (0) | 2021.11.15 |
---|---|
긍정적 외부효과와 부정적 외부효과의 뜻과 개념 (0) | 2021.11.11 |
프로슈머의 개념 및 종류와 기업들이 프로슈머 마케팅을 활용하는 이유 (0) | 2021.11.07 |
경제관련 스핀오프의 뜻과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아요 !! (0) | 2021.10.25 |
대체재와 보완재의 개념과 종류 및 차이점 (0) | 2021.10.24 |